킹 파드 국제공항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킹 파드 국제공항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, 다양한 항공사들이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한다. 국제선은 플라이나스, 필리핀 항공, 에어 인디아 등 여러 항공사들이 아시아, 중동, 아프리카, 유럽 지역의 주요 도시로 운항하며, 계절편 노선도 운영한다. 국내선은 사우디아, 플라이나스, 플라이아딜 등이 사우디아라비아 내 여러 도시를 연결한다. 화물 노선은 사우디아 카고,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, 루프트한자 카고 등 여러 항공사들이 운항하며, 연간 500만 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하는 공항이다. 공항은 두 개의 활주로, 다양한 항공기 스탠드, 화물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사우디아라비아의 공항 - 킹 칼리드 국제공항
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위치한 킹 칼리드 국제공항은 1983년 개항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으며 다양한 터미널과 시설을 갖춘 국제공항으로, 주요 항공 노선을 제공하고 2023년에는 3,7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으며 향후 확장을 통해 세계 최대 공항 중 하나가 될 예정이다.
- 사우디아라비아의 공항 - 프린스 모하메드 빈 압둘아지즈 국제공항
 프린스 모하메드 빈 압둘아지즈 국제공항은 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, 2007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고 2015년 공식 개항했으며, MENA 지역 최초로 LEED 골드 인증을 획득한 상업 공항 터미널이다.
- 1999년 개항한 공항 -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
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은 상하이의 주요 국제공항으로, 훙차오 공항의 수용 능력 한계를 극복하고 국제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, 현재 2개의 여객 터미널과 4개의 활주로를 운영하며 연간 8,0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하는 중요한 항공 관문 역할을 한다.
- 1999년 개항한 공항 -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
 난창 창베이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난창시에 위치하며, 1999년 개항하여 2004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고, 중국 국내 및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며 공항버스 및 철도 연결을 통해 접근성을 제공한다.
- 공항 - 퀸스타운 공항
 뉴질랜드 퀸스타운에 위치한 퀸스타운 공항은 1935년 운영 허가 후 상업 비행이 활성화되어 국내외 노선을 운항하며, 2018년 기준 뉴질랜드 내 4위 규모의 공항으로 성장했지만, 산악 지형으로 인한 기상 문제와 소음, 환경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.
- 공항 - 크라이스트처치 공항
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은 1940년 개항하여 1950년 뉴질랜드 최초의 국제공항으로 지정된 뉴질랜드 남섬 크라이스트처치 소재의 국제공항으로, 단일 터미널에서 국내선과 국제선을 처리하며 남극 탐험의 주요 거점 역할도 한다.
| 킹 파드 국제공항 - [지명]에 관한 문서 | |
|---|---|
| 기본 정보 | |
| 공항명 | 킹 파드 국제공항 | 
| 현지명 | مطار الملك فهد الدولي | 
| 영어명 | King Fahd International Airport | 
|  | |
| IATA 코드 | DMM | 
| ICAO 코드 | OEDF | 
| 공항 종별 | 민간 | 
| 운영 기관 | 프라포트 사우디아라비아 | 
| 위치 |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주 담맘 | 
| 허브 공항 | 사우디아 플라이나스 | 
| 해발 고도 | 22m | 
| 웹사이트 | www.kfia.com.sa | 
| 좌표 | 26° 28′ 16″ N, 49° 47′ 52″ E | 
| 활주로 | |
| 활주로 1 방향 | 16R/34L | 
| 활주로 1 길이 | 13,124 ft | 
| 활주로 1 폭 | 4,000 ft | 
| 활주로 1 ILS | YES | 
| 활주로 1 표면 | 아스팔트 | 
| 활주로 2 방향 | 16L/34R | 
| 활주로 2 길이 | 10,825 ft | 
| 활주로 2 폭 | 3,299 ft | 
| 활주로 2 ILS | YES | 
| 활주로 2 표면 | 아스팔트 | 
| 통계 | |
| 연도 | 2011 | 
| 통계 수치 | 5,267,000 | 
2. 운항 노선
킹 파드 국제공항은 여러 항공사가 취항하여 다양한 지역으로 운항하고 있다. 국제선은 아시아, 아프리카, 유럽 등지로 뻗어 있으며, 국내선은 사우디아라비아 내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. 화물 노선도 운영되고 있다.
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.
2. 1. 국제선
킹 파드 국제공항의 국제선은 아시아, 아프리카, 유럽 등 여러 지역으로 운항하고 있다.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플라이나스 | 두바이, 러크나우, 라호르, 뭄바이, 바레인, 바쿠, 사라예보,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, 카이로, 트라브존, 트빌리시, 하르툼계절편: 바투미, 살랄라, 샤름엘셰이크, 티라이나 | |
| 플라이아딜 | 계절편: 트빌리시 | |
| 필리핀 항공 | 마닐라 | |
| 히말라야 항공 | 카트만두 | |
| 비맘 방글라데시 항공 | 다카 | |
| 스리랑카 항공 | 콜롬보 | |
| 에어 인디아 | 델리 | |
|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 | 망갈로르, 코지코드, 트리반드룸 | |
| 비스타라 항공 | 뭄바이 | |
| 인디고 항공 | 러크나우, 뭄바이, 델리, 첸나이, 코지코드, 코친, 트리반드룸, 하이데라바드 | |
| 중동 항공 | 베이루트 | |
| 걸프에어 | 바레인 | |
| 에미레이트 항공 | 두바이 | |
| 에티하드 항공 | 아부다비 | |
| 에어 아라비아 | 샤르자, 알렉산드리아, 카이로 | |
| 플라이 두바이 | 두바이 | |
| 오만 항공 | 무스카트 | |
| 살람에어 | 무스카트 | |
| 로얄 요르단 항공 | 암만 | |
| 카타르 항공 | 도하 | |
| 쿠웨이트 항공 | 쿠웨이트 시티 | |
| 자지라 항공 | 쿠웨이트 시티 | |
| 파키스탄 국제항공 | 이슬라마바드, 라호르, 시알코트 카라치 | |
| 아제르바이잔 항공 | 바쿠 | |
| 조지아 항공 | 트빌리시 | |
| 타르코 에어 | 하르툼 | |
| 이집트 항공 | 카이로, 알렉산드리아 | |
| 닐에어 | 카이로 | |
| 에어 카이로 | 카이로 | |
| 에티오피아 항공 | 아디스아바바 | |
| 루프트한자 | 쿠웨이트 시티, 프랑크푸르트 | |
| KLM | 암스테르담, 리야드 | |
| 에게 항공 | 아테네 | |
| 터키항공 | 이스탄불(아르나부코이) | |
| 아나돌루 제트 |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 | |
| 페가수스 항공 |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 계절편: 트라브존 | |
| 위즈에어 | 부다페스트, 라르나카, 로마(레오나르도 다 빈치), 빈, 아부다비 | 
각 항공사별 자세한 운항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.
2. 1. 1. 아시아
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فلايناسar | 두바이, 러크나우, 라호르, 뭄바이, 바레인, 바쿠, 사라예보,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, 카이로, 트라브존, 트빌리시, 하르툼계절편: 바투미, 살랄라, 샤름엘셰이크, 티라이나 | |
| فلاي أديلar | 계절편: 트빌리시 | |
| Philippine Airlines영어 | 마닐라 | |
| हिमालय एअरलाइन्ne | 카트만두 | |
| বিমান বাংলাদেশ এয়ারলাইন্সbn | 다카 | |
| SriLankan Airlines영어 | 콜롬보 | |
| Air India영어 | 델리 | |
| Air India Express영어 | 망갈로르, 코지코드, 트리반드룸 | |
| Vistara영어 | 뭄바이 | |
| IndiGo영어 | 러크나우, 뭄바이, 델리, 첸나이, 코지코드, 코친, 트리반드룸, 하이데라바드 | |
| Middle East Airlines영어 | 베이루트 | |
| Gulf Air영어 | 바레인 | |
| Emirates영어 | 두바이 | |
| Etihad Airways영어 | 아부다비 | |
| Air Arabia영어 | 샤르자, 알렉산드리아, 카이로 | |
| flydubai영어 | 두바이 | |
| Oman Air영어 | 무스카트 | |
| طيران السلامar | 무스카트 | |
| Royal Jordanian영어 | 암만 | |
| Qatar Airways영어 | 도하 | |
| Kuwait Airways영어 | 쿠웨이트 시티 | |
| Jazeera Airways영어 | 쿠웨이트 시티 | |
| 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영어 | 이슬라마바드, 라호르, 시알코트 카라치 | |
| Azərbaycan Hava Yollarıaz | 바쿠 | |
| ჯორჯიან ეარვეისიka | 트빌리시 | |
| Tarco Air영어 | 하르툼 | |
| EgyptAir영어 | 카이로, 알렉산드리아 | |
| Nile Air영어 | 카이로 | |
| Air Cairo영어 | 카이로 | |
| Ethiopian Airlines영어 | 아디스아바바 | 
2. 1. 2. 중동
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فلايناسar | 두바이, 러크나우, 라호르, 뭄바이, 바레인, 바쿠, 사라예보,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, 카이로, 트라브존, 트빌리시, 하르툼, 계절편: 바투미, 살랄라, 샤름엘셰이크, 티라나 | 
| طيران الشرق الأوسطar | 베이루트 | 
| طيران الخليجar | 바레인 | 
| طيران الإماراتar | 두바이 | 
| الاتحاد للطيرانar | 아부다비 | 
| العربية للطيرانar | 샤르자, 알렉산드리아, 카이로 | 
| فلاي دبيar | 두바이 | 
| الطيران العمانيar | 무스카트 | 
| السلام للطيرانar | 무스카트 | 
|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ملكية الأردنيةar | 암만 | 
|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قطريةar | 도하 | 
|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كويتيةar | 쿠웨이트 시티 | 
| طيران الجزيرةar | 쿠웨이트 시티 | 
|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دولية الباكستانيةar | 이슬라마바드, 라호르, 시알코트, 카라치 | 
| الخطوط الجوية الأذربيجانيةar | 바쿠 | 
| تاركو للطيرانar | 하르툼 | 
| مصر للطيرانar | 카이로, 알렉산드리아 | 
| النيل للطيرانar | 카이로 | 
| إير كايروar | 카이로 | 
2. 1. 3. 아프리카
2. 1. 4. 유럽
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루프트한자 | 쿠웨이트 시티, 프랑크푸르트 | |
| KLM | 암스테르담, 리야드 | |
| 에게 항공 | 아테네 | |
| 터키항공 | 이스탄불(아르나부코이) | |
| 아나돌루 제트 |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 | |
| 페가수스 항공 | 이스탄불(사비하 괵첸) 계절편: 트라브존 | |
| 위즈에어 | 부다페스트, 라르나카, 로마(레오나르도 다 빈치), 빈, 아부다비 | 
2. 2. 국내선
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사우디아 | 리야드, 네옴베이, 제다 | 
| 플라이나스 | 리야드, 가심, 나지란, 메디나, 아라르, 아브하, 알바하, 알울라, 얀부, 제다, 지잔, 타북, 타이프 | 
| 플라이아딜 | 리야드, 가심, 나지란, 네옴베이, 메디나, 비샤, 아브하, 알바하, 제다, 지잔, 타이프, 하일 | 
2. 3. 화물 노선
| 항공사 | 목적지 | 
|---|---|
| 사우디아 카고 | 다카, 브뤼셀, 암스테르담, 프랑크푸르트, 호치민, 홍콩(첵랍콕) | 
|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| 두바이(알막툼) | 
| 에어 프랑스 카고 | 두바이, 뭄바이, 홍콩(첵랍콕) | 
| 루프트한자 카고 | 샤르자, 프랑크푸르트 | 
| DHL 항공 | 두바이 | 
| 카고룩스 | 룩셈부르크 시티, 홍콩(첵랍콕) | 
| 터키항공 카고 | 나이로비, 이스탄불(아르나부코이) | 
| 아에로트랜스카고 | 샤르자, 홍콩(첵랍콕) | 
킹 파드 국제공항은 해가 지날수록 꾸준히 이용객 및 이착륙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, 매년 500만 명이 넘는 승객이 공항을 이용하고 있다.[1] 
 
[1] 
웹사이트
 
킹 파흐드 국제공항 통계
 
http://www.routesonl[...] 
 
                        
3. 항공량 통계
연도 총 이용 여객 국제선 여객 비율 화물(톤) 항공기 취항 횟수 증감률 2000 2,533,000 42% 56494ton 23,886 -1.38% 2001 2,542,000 41% 55088ton 23,312 -2.46% 2002 2,578,000 39% 53029ton 23,281 -0.13% 2003 2,613,000 40% 48634ton 23,308 0.12% 2004 2,782,000 41% 48065ton 23,778 2.02% 2005 3,013,000 40% 49633ton 24,457 2.86% 2006 3,341,000 43% 59610ton 29,162 19.24% 2007 3,841,000 41% 66621ton 39,265 34.64% 2008 3,885,000 47% 95862ton 40,776 3.85% 2009 4,149,000 48% 82944ton 41,079 0.74% 2010 4,569,000 52% 82865ton 45,512 10.79% 2011 5,267,000 56% 82256ton 50,936 11.92% 
4. 구조와 시설
참조
[2] 
웹사이트
 
http://www.the-saudi[...]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